top of page

2023년 5월 (통권 제31호)

인터넷 환경에서의 대중음악규제 양상 - 청소년 유해음반 지정과 해제를 중심으로

A Study of Popular Music Regulation in the Internet Environment - Focusing on the Designation and Cancellation of Harmful Music for Youth

2023, vol.31, 통권 31호 pp. 9-59 (51 pages)

DOI : 10.36775/kjpm.2023.31.9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연구분야 : 예술체육학 > 음악학 > 대중/실용/영화음악
권정구 1
1성결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대중음악사에 있어 정부규제에 대한 해제를 요약하면 첫째 금지곡의 해제(1987년), 둘째 사전심의제의 폐지(1996년), 셋째 청소년유해음반지정취소(2012년)로 정리된다. 1996년 사전심의제 폐지 이후 나타난 큰 변화로 대중음악규제의 목표가 ‘청소년 보호’로 전환되었고 대중음악인과 음악수용자의 강력한저항이 나타났다는 점이다. 2012년 싸이(Psy)의 <강남스타일>이 빌보드차트에 오르며 수억 건의 유투브 동영상 조회를 기록했으나 <Right Now>(2010년 발표)는 음주 관련 표현으로 청소년유해매체물로 지정되어 청소년과 외국인에게 접근이 제한되었다. 지정을 담당하는 여성가족부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보완하기 위해 2011년 심의세칙기준을 마련하였고 나아가 2012년 10월 12일 유해매체판정을 받은 노래 중 297곡에 대하여 지정취소를 결정하였다. 2012년에 있었던 청소년유해음반 지정 취소는 1987년 금지곡 해제, 1996년 사전심의제폐지에 버금갈 정도의 큰 사건이었음에도 이를 다룬 연구는 찾기 힘들다. 본 연구는 1996년 사전심의제 폐지 이후 2012년까지 일어났던 청소년유해음반 지정 및 해제와 관련한 일련의 과정들을 고찰하고 있다. 대중음악에 대한 청소년 유해매체물 지정은 많은 가수들과 제작사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2PM이 부른 <Hands Up>이 유해곡으로 지정되자 팬들의 강한 불만이 제기되었고, 여성가족부에서는 심의의 객관성을 위해 ‘시행세칙’을 제정하였다. 그러나 여성가족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유해매체 지정에 대한 반발은 계속되었다. 특히 싸이의 <Right Now>와 관련된 일련의 사건은 인터넷을 통한 팬들의 공론화 과정에서 나타났다. ‘스타와 팬덤’의 단순한 구조에서 ‘스타와 팬덤 그리고 국내외 네티즌’이 가세한 확장된 범위의 형태였다. 인터넷 영상물을 선호하는 10대 청소년은 PC통신 세대의 수준을 뛰어넘어 인터넷 환경의 SNS를 통해 신속한 의견과 정보를 교환하며 대중음악 규제에 대한 강력한 저항 세력이 될 수 있었다. 미디어 환경이 변화하면서 대중음악규제에 대해 음악생산자들은 법적소송을 진행하고, 음악 수용자들도 항의전화의 수준을 벗어나 해당 홈페이지 공격 등으로 불만을 표시하고 있으며 점차 어린 연령층으로 확대되고 있다. ‘청소년보호’는 대중음악 콘텐츠에 대한 규제에서 점차 참여자(가수, 연주자 등)를 보호하는 영역으로 변모하고 있다.


In the history of Korean popular music, government regulations and cancellations can be summarized as: the cancelling of banned songs (1987), abolition of the pre-deliberation system (1996), and cancellation of the designation of music as harmful to the youth (2012). A major change after the abolition of the pre-deliberation system (1996) is that the goal of popular music regulation changed to ‘protection of youth’, resulting in the emergence of strong resistance from popular musicians and music listeners.
In 2012, Psy’s <Gangnam Style> topped the Billboard charts and gained millions of views on YouTube, but <Right Now> (announced in 2010) was designated as a harmful song to the youth due to its alcohol drinking-related expressions, making it difficult for teenagers and foreigners to access.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hich is in charge of designation, prepared the detailed standards for deliberation in 2011 to supplement these problems. Furthermore, in 2012, the ministry decided to cancel the designation of 297 songs among those judged as harmful. The cancellation of the designation of music harmful to youth in 2012 was a major event comparable to the lifting of the banned music in 1987 and the abolition of the preliminary review system in 1996.
The designation of popular music as songs harmful to the youth aroused opposition from many singers and production companies. When <Hands Up> sung by 2PM was designated as a harmful song, strong complaints were raised from fans,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enacted the ‘Enforcement Rules’ for deliberations to be objective. However, despite the ministry’s efforts, Family, opposition to the designation of media as harmful continued. In particular, a series of incidents related to Psy’s <Right Now> occurred in the process of publicizing fans through the internet. In the simple 인터넷 환경에서의 대중음악규제 양상 권정구 59 structure of ‘stars and fandoms’, ‘stars and fandoms and netizens at home and abroad’ were added to expand the scope. Teenagers who prefer internet videos could go beyond PC communication generation and become a strong force of resistance to popular music regulations. As the media environment changes, music producers are proceeding with legal actions against popular music regulations, while music audiences are also expressing their dissatisfaction by attacking the homepage, making complaint calls, and these actions are gradually extending to the younger age group. ‘Youth protection’ is gradually changing from regulation of popular music content to an area that protects participants (singers, performers, etc.).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청소년보호법, 사전심의제, 싸이 Psy, 청소년유해매체, 시행세칙, 저항
이 키워드로 연구동향 분석
이 키워드로 논문 검색
Youth Protection Act, prior screen system, Psy, harmful songs to youth, resistance

논문 다운로드

예술가 정체성에 대한 질적 연구 - 음악인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of artist identity through interviews with artists in the music field

2023, vol.31, 통권 31호 pp. 61-94 (34 pages)

DOI : 10.36775/kjpm.2023.31.61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연구분야 : 예술체육학 > 음악학 > 대중/실용/영화음악
김현중 1
1동아방송예술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예술이라는 형이상학적 개념은 철학자들과 이론가들에 의해 오랜 시간 논의되어 왔음에도 아직까지 명확히 정의되지 못했고 그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이공존하고 있을 뿐이다. 현대에 들어 예술의 경계는 점점 더 모호해졌고, 인간이아닌 동물이나 AI가 만든 창작물의 등장으로 인해 예술가 정체성에 대한 근본적인 사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정체성 이론을 바탕으로 음악 예술인들의 경험과 현실적인 관점이 담긴 심층 면담을 통해 예술가정체성의 원천과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예술가 정체성은 예술 작품으로부터 받은 감동과 영감으로부터 시작되어, 예술적 기술을연마하는 무형의 과정 또는 예술적 창작물이라는 유형의 결과를 통해 형성된다. 동시에 예술가는 각자 주관적인 ‘예술 인정 영역’을 설정하고 그 영역 안에소속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다. 예술 인정 영역은 예술가 정체성 돌출계급의 최상단에 ‘예술가’로 자리하며, 그 밑으로 기능인으로서의 ‘예술인’, 그리고 계급의 최 하단에는 그 외 다중 정체성이 위치한다. 예술가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은 예술 작품 속 작가의 의지 및 의도 반영 여부, 정체적소속감의 변동, 그리고 같은 예술계에 종사하는 동료의 평가와 피드백으로 나타났다. 예술가 정체성은 한 국가의 외교, 경제와도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된 문화예술의 근본적 핵심 요소로서 그 의의를 가진다. 예술가 정체성과 정체성 괴리감에 대한 연구는 예술의 본질과 예술이 갖는 의미를 보다 더욱 구체화 시키고효율적이며 효과적인 예술 창작 환경 조성 등을 위한 실용적 관점에서도 응용가능하다.


Although the concept of art has long been discussed by philosophers and theorists, it has not been clearly defined and a variety of perspectives coexist today. Contemporarily, the borderline of art is becoming increasingly vague. The introduction of art created by animals or AI has triggered the need for a fundamental reconsideration of artist identity. This paper focuses on the origin of artist identity and the factors that affect i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artists in the music field. Artist identity is formed by the inspiration received from art and shaped through the process of artistic “grinding” or creation. An artist subjectively sets “a boundary of perceived art” within which they try to stay that defines the top of the identity salience hierarchy under the title “artist.” Next in the hierarchy sits the “art worker” as a functional being in the art field, and multi-identity is placed at the bottom.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artist identity are whether the artist’s intention resides in their art, changes in the sense of belonging, and feedback from colleagues in the same artistic field. Artist identity constitutes the essential factor in art and culture and often comes to closely relate to a nation’s foreign policy and economy. A study of artist identity and its discrepancies would further solidify our grasp othe true nature and meaning of art. It is also applicable in practical terms to fostering a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creative artistic environment.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예술가, 예술인, 음악, 정체성, 심층면담
artist, art worker, music, identity, interview

논문 다운로드

보컬 전공 학습자를 위한 작곡 지도방안 연구 - 재즈 즉흥연주 원리를 중심으로

A Study of Composition Instruction Based on Principles of Jazz Improvisation for Vocal Majors

2023, vol.31, 통권 31호 pp. 95-126 (32 pages)

DOI : 10.36775/kjpm.2023.31.95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연구분야 : 예술체육학 > 음악학 > 대중/실용/영화음악
남예지 /Nam, Ye Ji 1
1중앙대학교 글로벌예술학부

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재즈 즉흥연주의 원리를 활용하여 보컬 전공 학습자들이 가창을통해 작곡을 경험하도록 지도하는 방안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즉흥연주의 원리를 활용하지만, 본격적인 재즈 즉흥연주 테크닉을 배양하는 것보다는 즉흥연주를 작곡의 도구로 활용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수업은 크게 ‘코드 톤 가창’, ‘화성 진행 위에서의 코드 톤 가창’, ‘화성 진행에 멜로디 만들기’, ‘가사를활용하여 멜로디 만들기’의 네 단계로 이루어지며, 이는 주어진 전체 수업의 차수와 학습자의 이론적 배경 및 성취도에 따라 단계를 세분화하여 진행할 수 있다. 수업에서 학습자는 가창을 통한 창작을 경험하고 창의적 작업과 관련된 기반을마련할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는 보컬 전공 학습자들이 이론과 가창을 교차시킬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음악적 스펙트럼을 확장할 수 있도록 돕는 지도방안의 개발이라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ethod of teaching vocal learners to experience composition through singing that applies the principles of jazz improvisation, but focuses on improvisation as a tool for composition rather than cultivating authentic jazz improvisational techniques. The lessons are divided into four phases: singing chord tones, singing chord tones over chord progressions, creating melodies over chord progressions, and creating melodies with lyrics, which can be broken down into smaller steps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overall lesson and the learner’s theoretical background and achievement. In the class, learners can experience creation through singing and lay the foundation for creative wor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development of a pedagogical approach to help vocal majors expand their musical spectrum through opportunities to combine theory and performance.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즉흥연주, 보컬, 재즈, 음악교육, 작곡
Improvisation, Vocal, Music education, Jazz, Composition

논문 다운로드

악곡 분석으로 본 손석우의 음악 세계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on Seok-woo’s Music through Analysis

2023, vol.31, 통권 31호 pp. 127-145 (19 pages)

DOI : 10.36775/kjpm.2023.31.127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연구분야 : 예술체육학 > 음악학 > 대중/실용/영화음악
유옥란 /Yu, Ok-Ran 1
1단국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2019년 향년 99세로 세상을 떠난 손석우는 한국 대중가요 작곡가이다. 한국대중음악사에 있어서 손석우의 업적을 기리고 계승하기 위한 행사는 계속되고있으나 악곡 분석을 중심으로 둔 논문이나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점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손석우 작곡 100선􋺸에 수록된 곡을 분석하고 손석우자신이 명명한 시기별 작품의 특징과의 연계점을 확인하였다. 손석우의 음악세계를 크게 셋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끊임없이 새로움을 추구하며진화하는, 살아있고 생명력 있는 음악이다. 둘째, 철저하게 계획하고 계산된 글과 음의 조합은 우연히 맞아떨어지는 것이 아닌 여러 번의 시도와 수정 끝에얻게 된 필연적 구도의 결과물이다. 셋째, 유명 시인의 시를 노랫말로 사용하고그것에 음악을 융합하여 상승효과를 가져왔고 이것은 손석우만의 다양한 노랫말 발굴 의지의 일면이라 할 수 있다.


Son Seok-woo was a celebrated Korean pop song composer who passed away in 2019 at the age of 99. Although there are ongoing events commemorating his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Korean pop music, there is a lack of literature and research focused on music analysis. A recent analysis of the songs included in “100 Compositions by Son Seok-woo” confirmed their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by Son Seok-woo Ji-shin. Son Seok-woo’s music world is characterized by its liveliness and constant pursuit of novelty and evolution. Furthermore, the combination of writing and sound was thoroughly planned and calculated, resulting from multiple iterations and reworks rather than accidental matching. Lastly, Son Soek-woo utilized the poetry of a famous poet in his lyrics incorporating existing art into his synergistic medium. This showcases his desire to incorporate existing cultural elements into his musical works and create a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art form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손석우, 악곡 분석, 음악세계, 대중음악, 원로 작곡가
Son Seok-woo, music analysis, music world, pop music, senior composer

논문 다운로드

이소라 노랫말의 ‘수동성’과 ‘외로움’

The Themes of “Passivity” and “Loneliness” in Lee Sora’s Lyrics: An Analysis

2023, vol.31, 통권 31호 pp. 147-175 (29 pages)

DOI : 10.36775/kjpm.2023.31.147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연구분야 : 예술체육학 > 음악학 > 대중/실용/영화음악
이병주 1
1공군사관학교 어문학과

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소라는 자신의 노래를 직접 작사하는 작사가로도 유명하다. 그녀가 작사한노랫말엔 ‘수동성’과 ‘외로움’으로 요약할 수 있는 구조적 원리가 발견되는데, 이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노래가 <바람이 분다>이다. <바람이 분다>는 이소라의 노랫말을 초기와 후기로 나누는 분기점과도 같은 역할을 한다. ‘수동성’은 1집에서 상대의 고백이나 행위를 기다리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주로 어조나 태도와 같은 표면적인 층위에서 확인할 수 있다. 6집 이후 바람이 부는 일처럼 자신이능동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일도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는 이소라를 내면으로침잠하는 존재적 탐구의 방향으로 나가게 한다. 이 존재적 탐구는 사랑이나 이별과 마찬가지로 대상에 대한 상실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여기서 상실은 ‘죽음’과같은 존재의 고민으로 이어지며, ‘죽음’은 그녀의 노랫말에 나타나는 ‘별’이라는상징적 대상과 연결된다. ‘외로움’은 그녀가 1집부터 보여주는 단절감에서 비롯된 것이다. ‘세상’과 ‘사람’ 그리고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발생한 ‘외로움’은 대148 통권 31호(2023년 상반기) 상에 대한 집착과 상실로 이어진다. 상실 이후엔 그 상실감을 메우는 ‘사랑’에대한 ‘믿음’으로 발전된다. 여기서 ‘사랑’은 연인과의 사랑뿐만 아니라 타인에 대한 애정이자, 인류애에 가깝다.


Lee Sora’s Lyrics explore themes of “passivity” and “loneliness” in the context of love and separation. These two themes are evident in the song “The Wind Blows (<바람이분다>).” The first theme of “passivity” also appears in “proposal (<청혼>)”; this is represented in the waiting for another person’s confession or action. Through reflection, she realizes that there are some things, like the wind, that she cannot control. This leads her on an existential search inward, a quest triggered by the loss that love brings, manifested as a fear of death; this fear is connected symbolically with a star. The second theme of loneliness stems from a fundamental sense of disconnection. This was also seen in her first album, where the disconnection between the “world” and “people” leads to attachment to objects and loss. This loss leaves a gap that is filled by belief in love. Here, “love” is not only romantic love but also humanism.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한국 대중가요, K-POP, 이소라, 노랫말, <바람이 분다>, 사르트르
Korean popular music, K-POP, Lee Sora, Lyrics, Sartre

논문 다운로드

‘코로나 블루’가 대중가요 가사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 2019년과 2021년 인기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orona Blue” on the Emotion of Popular Music Lyrics - Focused on Popular Music between 2019 and 2021

2023, vol.31, 통권 31호 pp. 177-205 (29 pages)

DOI : 10.36775/kjpm.2023.31.177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연구분야 : 예술체육학 > 음악학 > 대중/실용/영화음악
이수복 1 , 박재록 /Park, Jaerock 2
1상명대학교

2상명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부정적인 정서를 유발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전후의 인기 대중가요의 장르, 가사의주제, 가사의 정서를 분석․분류하여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과 2021년두 해의 멜론 연도 차트 100곡을 선정하여 총 200곡의 각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인기 대중가요는 팬데믹 이전에 비해 장르에서는댄스 음악의 비중이 높아졌고, 주제는 이별보다 사랑을 다루는 내용이 많아졌으며, 정서는 긍정적이고 높은 각성을 갖는 경향성을 보였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사회 전반의 분위기가 어두운 시기에 유행하는 인기 대중가요는긍정적이고, 쾌활한 방향으로 변화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을 통해 사회의분위기가 변함에 따라 대중음악의 속성도 변화한다는 기존의 이론을 재확인할수 있었고, 그 속성이 사회 분위기에 반하는 방향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있었다. 이를 통해 사회 위기 상황에서 발생한 대중가요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어이후 사회와 대중가요에 관한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genres, themes, and emotions expressed in popular music before and during COVID-19 using a dataset of the top 100 charting yearly songs from the Melon music streaming service in 2019 and 2021. The study focuses on the “Corona Blue” effect and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link between stress during the pandemic and negative emotions. Results showed an increase in the dance music genre and positive themes in lyrics. Moreovoer, there was a decrease in negative themes, such as “breaking up,” and an increase in themes, such as “love” in the song lyrics. Furthermore, the emotion of the lyrics tended to be more positive and arousing in 2021 compared to 2019. These findings reinforce the theory that elements of popular music change as the social atmosphere changes (in this case, the social atmosphere was indirectly correlated with popular music themes) and offer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ID-19 pandemic and trends in popular music.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한국 대중음악, 대중음악 가사, 대중음악 정서, 대중음악 주제, 코로나19
Korean popular music, popular music emotions, popular music lyrics, popular music themes, COVID-19

논문 다운로드

스포츠와 응원가 : 강렬한 정념의 집합적 표출

Sports and Cheering Song: a Collective Eexpression of Iintense Emotion

2023, vol.31, 통권 31호 pp. 207-247 (41 pages)

DOI : 10.36775/kjpm.2023.31.207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연구분야 : 예술체육학 > 음악학 > 대중/실용/영화음악
정윤수 /Jeong, Yoon Soo 1
1성공회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스포츠는 대중의 욕망이 직접적으로 표출되는 문화적 장이다. 이때 울려 퍼지는 응원가는 당대의 사회문화적 욕망이 응축되어 있다. 이 논문은 한국 스포츠의전개 과정에서 응원 문화와 응원가가 어떻게 변해왔는가를 파악하고 이로써 스포츠를 통한 대중의 욕망 표출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자문화 기술지와 다양한 문헌 자료 분석을 시도하였다.
해방 이후 한국 스포츠의 응원 문화는 오랫동안 집단주의 양상이 지배적이었다. 장기간의 군사정권 시기에 스포츠 정책은 국가주의로 일관하였고 응원 문화역시 집단주의 양식으로 표출되었다. 프로스포츠 출범과 1988서울올림픽을 계기로 중산층 상승 욕망과 도시문화 실천의 양상이 전개되었는데 이를 전후로대중음악의 활용이 전개되었다. 2002한일월드컵을 전후로 국가대표 경기에 대한 과잉 민족주의 응원가가 유행하였으나 일상 스포츠 문화와는 무관하였다. 한편, 지역 연고를 확보하기 시작한 프로스포츠에서는 대중음악을 활용하여 관중의정서를 즉각적으로 결합하여 열광적으로 표출하였다. 여기에 글로벌 문화 감수성을 지닌 젊은 팬들이 프로스포츠 응원문화에 참여하고 각종 스포츠 미디어가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하는 현상까지 결합되면서, 대중음악을 활용하는 응원문화가 전개되었다


Sports is a cultural field where public desires are directly expressed. The cheering song resounding at this time is condensed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desires of the time. This thesis grasps how cheering culture and cheering songs have changed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sports, and analyzes the public's desire expression through sports. To this end, an analysis of self-cultural descriptions and various literature data was attempted. After independence from Japanese imperialism, Korean sports cheering culture was dominated by collectivism for a long time. During the long-term military regime, sports policy was consistent with a project to Nationalism and the cheering culture was also expressed in a collectivist style. With the launch of professional sports and the 1988 Seoul Olympics, the desire to rise to the middle class and the aspect of urban culture practice developed, and before and after this, the use of popular music was developed. In addition, popular music became an effective way to immediately combine public sentiment and express it enthusiastically in the professional sports scene where excessive nationalism and regional base were weak before and after the 2002 Korea-Japan World Cup.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스포츠, 응원가, 민족주의, 향수, 중산층 욕망
sports, cheering song, nationalism, nostalgia, middle class desire

논문 다운로드

다각적으로 재평가되는 현대 한국의 트로트

Modern Korean trot that is being reevaluated in various ways

비정규논문
2023, vol.31, 통권 31호 pp. 281-284 (4 pages)

DOI : 10.36775/kjpm.2023.31.281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연구분야 : 예술체육학 > 음악학 > 대중/실용/영화음악
고바야시 다카유키 1
1오카야마대학

초록 열기/닫기 버튼
나는 정년퇴직 이후에 일본과 한국의 대중음악을 비교연구하고그것을 정리하여 2019년 􋺷한일대중음악사회사-엔카와 트로트의 토착성과 월경성􋺸(􋺷日韓大衆音楽の社会史-エンカとトロットの土着性と 越境性􋺸)을 출판했다. 그것은 서양음악의 영향을 받아 창가로부터시작되는 일본과 한국 근대음악의 흐름을 서로 비교 검토한 것으로, 양자의 본격적인 비교연구로는 처음이 아닌가 생각한다.
일본에서 이 책을 출판할 때부터 나는 일본의 엔카를 한국에도꼭 알리고 싶었고 가능하면 한국에서도 출판하고 싶었는데 다행히도 2022년 한국의 가천대학교 박진수 교수의 도움으로 일본어 초판을 바탕으로 한 개정판을 한국에서 ‘한국의 트로트와 일본의 엔카’ 라는 제목으로 번역 출판할 수 있었다. 한국어판은 일본어판의 개정판으로서 대폭 가필 수정했는데 특히 일본어판에서는 시간적인 관계로 기술할 수 없었던 현대 한국의 트로트 붐에 대해서도 고찰하고 있다.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다각적으로 재평가되는 현대 한국의 트로트

논문 다운로드

2022 한국대중음악학회 제31회 정기학술발표대회: 기획 세션 “대중음악 현장이 경험한 팬데믹” 라운드테이블

일시: 2022년 12월 3일(토) 13:00-18:00
장소: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1801호(세미나실)
사회: 조일동(한국학중앙연구원)
대담: 김도헌(대중음악평론가), 박근홍(음악인),
정우초(샌드박스네트워크)

논문 다운로드
대중음악 31호_표지 (1).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