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통권 제33호)
1960년대 한일 대중음악에 나타나는 비틀즈의 영향을 통한, 대중음악의 수용의미 분석 - 1960년대 양국 밴드 음악의 비교를 중심으로 -
Meaning of Acceptance of Popular Music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Beatles in Korean-Japanese Popular Music in the 1960s - Focused on the 1960s Band Music of Both Countries -
2024, vol.33, 통권 33호 pp. 317-340 (24 pages)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연구분야 : 예술체육학 > 음악학 > 대중/실용/영화음악
이주원 /Lee Juwon 1
1정화예술대학
초록 열기/닫기 버튼
1964년 2월 7일 미국 뉴욕에 도착한 비틀즈의 모습이 중계된 이래로 비틀즈는 미국뿐만이 아니라 세계 대중음악 시장을 흔들어 놓았다. 당시 미국의 대중문 화에 강한 영향을 받고 있었던 동아시아의 한국과 일본 또한 비틀즈를 비롯한 영국스타일 밴드음악의 영향을 받았다. 본 논문은 1960년대에 한국과 일본이 동시에 경험한 이러한 문화적 현상을 토대로 당대 양국 음악의 비교를 통해 한일양국의 영미권 문화 전파 양상을 조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기 비틀즈의 음악에 영향을 받은 1960년대 양국의 초창기 밴드들로 연구범위를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 밴드들의 음악을 선율, 화성의 분석을 통해 양국 밴드음악의 음악양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양국의 밴드음악은 음악양상에 있어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고 있었다. 공통점은 양국의 밴드음악이 비틀즈의 밴드 편성과 편곡 방식을 따르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차이점도 존재하였 다. 한국 밴드들의 경우 번안곡을 제외하고 보면 비틀즈의 음악적 영향을 찾아보 기는 쉽지 않다. 반면 일본의 경우 비틀즈의 선율, 화성적 특징을 최대한 반영하여 가능한 비틀즈와 흡사한 음악을 구사하고 있는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국의 1960년대 밴드음악은 새로운 영미권 음악을 현지화하여 타협적으로 수용했다고 볼 수 있고, 일본의 밴드음악 역시 현지화시도가 있었으나 비틀즈로 대변되는 영미권 음악의 추세를 그대로 모사하고자 했던 시도도 존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70년대와 80 년대의 한국과 일본의 대중음악은 제각기 다른 길을 걸어왔다. 이러한 차이는 록, 록큰롤, R&B 등 영미권 대중음악장르의 분화기로 여겨지는 50,60,70년대의 영미권 음악을 양국이 각자 다르게 수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화수용의 차이가 후대 음악에 영향을 주는 현상은 케이팝의 탄생과정에서도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현대의 케이팝의 형성, 제이팝과의 양상 차이 등에 대한 연구를 차후 연구과제로 삼겠다.
Since the Beatles’ arrival in New York on February 7 th , 1964 was broadcast, they have shaken up not only the United States but also the world’s popular music market. Korea and Japan, which were strongly influenced by American pop culture at the time, were also influenced by British-style band music including the Beatles. Based on this cultural phenomenon that Korea and Japan experienced simultaneously in the 1960s,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cultural spread in the Anglo-American region between the two nations via a comparison of the music of the two countries at the time. This study compared Korean and Japanese 60s popular music in terms of melodies and harmonies that were influenced by British-style band music represented by the Beatles. As a result, the band music of both countries exhibit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usical aspects. A common factor is that the band music of both countries follows the Beatles’ band formation and arrangement method; however,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In the case of Korean bands, excluding their adapted songs, the musical influence of the Beatles is not easy to find. Korean band Add4’s songs were made using pentatonic scales, which give the feeling of Korean folk music. The band Keyboys wrote songs in the trot genre. In the case of Japan, other examples can be found. The band The Spiders and The Dynamites used music as similar to the Beatles as possible, thereby reflecting the Beatles’ melodic and harmonic characteristics as much as possible. Jackey Yoshikawa and the Blue Comets showed enka tendencies. Based on our results, Korea’s 1960s band music localized new English-American music and accepted it in a compromise manner. Japanese band music also attempted to localize, but attempted to copy the trend of English-American music represented by the Beatles. It was confirmed that attempts had also been made. Based on these differences in cultural accepta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patterns of cultural transmission at the time in the Anglo-American worl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ublic’s level of exposure to Anglo-American culture was different in the two countries.
2. The music production companies of the two countries had different approaches to the newly forming English-American music.
Thereafter, Korean and Japanese popular music in the 70s and 80s took different paths. This difference can be viewed as the result of the two countries’ different acceptance of Anglo-American music from the 50s, 60s, and 70s, which are considered a time of differentiation in Anglo-American popular music genres such as rock, rock‘n’roll, and R&B. The occurrence of the phenomenon of cultural acceptance influencing later generations of music is believed to be repeating with the birth of K-pop. Accordingly, the formation of modern K-pop and its differences from J-pop can be considered as future research task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한국 대중음악, 일본 대중음악, 비틀즈, 한일 문화비교, 문화전파
Korean popular music, Japanese popular music, Beatles, Korea-Japan cultural comparison, cultural spread
힙합 중심 통합예술교육 개발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Hip-Hop Focused Integrated Arts Education Development Program on Adolescents’ Self-Esteem
2024, vol.33, 통권 33호 pp. 275-315 (41 pages)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연구분야 : 예술체육학 > 음악학 > 대중/실용/영화음악
이승희 /Lee Seung Hee 1 , 서근영 2
1성균관대학교
2경희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교육의 효과 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데에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지원하여 수도권 거주 12~24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된 <방과후 힙합스쿨>의 통합예술프로그 램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의 구조와 의도를 분석하고, 참여 청소년들의 자아존 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STATA 프로그램을 활용한 양적분석과 게슈탈트 테라피 기반의 질적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참가자들의 변화를 평가했다. 참여자들의 특성, 프로그램 만족도, 자아존중감 등을 측정하는 사전․사후 설문조사와 관찰기록, 녹음자료, 랩 가사를 분석한 결과, 통합예술교육이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힙합을 활용한 통합예술교육이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을 입증함으로써, 현대 사회의 다양한 위기 상황에 대처하는 청소년의 창의적 대응 역량 강화에 통합예술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의 실천적 적용을 위한 운영안을 제시하고, 힙합을 활용한 새로운 음악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mpirically assesses the efficacy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in enhancing adolescent self-esteem. Focused on the “After-School Hip-Hop School” program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argeted at 12- to 24-year-olds residing in the metropolitan area, this research analyzes the structure and intent of the program and investigates its impact on the participants’ self-esteem. We employ both quantitative analysis using the STATA software and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Gestalt therap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the transformation in participants. Pre- and post-program surveys that measure characteristics, program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long with observational records, audio recordings, and analysis of rap lyrics, confirmed that integrated arts education positively influences the enhancement of adolescents’ self-esteem. This research substantiates that hip-hop-based integrated arts education can contribute to improving adolescent self-esteem, thus playing a vital role in enhancing their creative response capabilities to cope with various contemporary societal challenges. Additionally, the study presents operational guidelines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and proposes new directions for music education using hip-hop, thereby highlighting its significance.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통합예술교육, 청소년 자아존중감, 힙합, 개발 프로그램, 문화체육관광부, 게슈탈트 테라피
Integrated Arts Education, Adolescents’ Self-Esteem, Hip- Hop, Gestalt Therap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작곡 AI의 현재와 쟁점에 따른 국내 음악저작권 논의방향 연구
Present and Key Issues of AI Composer and the Direction of Music Copyright Discussions in Korea
2024, vol.33, 통권 33호 pp. 241-274 (34 pages)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연구분야 : 예술체육학 > 음악학 > 대중/실용/영화음악
이다영 1
1성균관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작곡 AI는 음악 분야 중 AI기술이 가장 활발하게 적용되는 부문 중 하나로, 본고에서는 음악콘텐츠산업계 최근 소식과 관련 문헌들을 통해 국내 각 계에서 바라보는 작곡 AI의 현황과 저작권적 쟁점 및 논의방향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이는 정책입안자들이 기술 발전과 저작권 보호에 대한 균형적인 시각을 갖도록 유도하고, 음악산업 관계자 및 창작자들로 하여금 저작권 논의방향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촉진하기 위함이다. 이 글에서는 음악콘텐츠의 제작 및 이용 과정상 나타나는 쟁점 사항을 강조 하기 위해 크게 창작 이전 단계와 창작 단계, 기타 부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 다. 먼저 창작 이전 단계는 데이터 학습 단계로, 원 데이터의 복제․전송에 따른 저작권 침해 문제가 쟁점이다. 이에 대해, 학습데이터에 대한 투명한 정보 공개와 더불어 해당데이터 저작권자에 대한 보상의 정도와 방식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과, 이러한 합의의 장 마련을 위한 정책적 도움이 필요성을 제시 하였다. 두 번째, 창작이후 단계에 있어 저작권 쟁점사항으로는 작곡 AI의 창작자 인정여부와 소유권 귀속, 보호방식을 들 수 있다. 창작자 인정여부와 관련해서는, 해외 아이바의 경우와 같이 저작권 인정 사례가 증가할 경우 세계 저작권법에 유효한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대비의 필요성을 제시하 였다. 또한 AI를 창작자로 인정하는 경우 AI의 역할, 참여비중에 따라 분배기준이 필요한데, 음악산업계 내부에서 이러한 분배 기준이 공유․적용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작곡 AI 음악의 공유와 상업적 이용과 기존작품과의 유사성 여부 판단 역시 논의대상으로 떠오르는데, 특히 표절에 대한 윤리적인 가이드라 인과 이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I composer stands out as one of the most vigorously applied domains of AI technology within the music sector. This study discusses the current status of AI composer as perceived by various stakeholders in Korea through recent issues in the music industry and relevant literature, while also examining the copyright-related issues and directions of discourse. The aim is to encourage policymakers to adopt a balanced perspective on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copyright protec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mong music industry stakeholders and composers regarding the direction of copyright discussions. To emphasize the contentious issues arising in the process of music content production, this study categorizes them into pre-creation stages, creation stages, and other areas. First, in the pre-creation stages involving data learning, copyright infringement issues arise from the replication and transmission of original data. Thus, we propose the necessity for transparent disclosure of information regarding training data, as well as discussions on the extent and method of compensation for the data copyright holders, and the need for policy support to facilitate such agreements. Second, in the post-creation stages, copyright issues revolve around the recognition of AI composer creators, ownership attribution, and protection methods. Concerning the recognition of creators, as instances of recognizing AI as creators increase globally, this study suggests preparations for potential impacts on international copyright laws. Furthermore, the distribution criteria based on AI’s role and contribution must be established, with an emphasis on the necessity for internal consensus within the music industry. Lastly, the sharing and commercial use of music composed by AI and the determination of similarity with existing works are also discussed. Specifically, ethical guidelines regarding plagiarism and the need for systems enabling objective judgment are proposed.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작곡 AI, 음악저작권, 생성형 AI, AI 저작권, 저작권법
AI Composer, Music Copyright, AI Copyright, Generative AI, Copyright Law
가스펠 음악이 엘비스 프레슬리(Elvis Presley)의 음악에 끼친 영향과 의미
The Profound Influence of Gospel Music on Elvis Presley’s Music
2024, vol.33, 통권 33호 pp. 207-240 (34 pages)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연구분야 : 예술체육학 > 음악학 > 대중/실용/영화음악
양동복 /Dong Bok Yang 1
1나사렛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엘비스 프레슬리가 생전에 받은 3개의 그래미상은 모두 가스펠 부문이었다는 것은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다. 그는 평생 가스펠 음악을 떠나지 않았고 사후에는 가스펠 음악 명예의 전당에도 올랐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가스펠 음악이 엘비스 프레슬리의 음악에 끼친 영향과 가스펠 음악 활동의 의미를 탐구해 보려는 것이다. 그는 세속과 크게 구분되지 않은 가스펠 음악문화를 지닌 미남부 지역에서 다양한 가스펠 음악의 영향 아래 성장했다. 록큰롤 스타에 오른 뒤에도 가스펠 레코드를 지속적으로 발표했으며 출연한 영화와 각종 공연에서도 가스펠을 불렀다. 그는 음악 스타일을 형성해 나가는데 있어서 가스펠 음악을 중요한 요소로 활용하여 음악경력 모두에서 백업보컬을 가스펠 쿼르텟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기존의 가스펠 음악에 컨템퍼러리 사운드를 적용하여 자신의 음악스타일로 변화시켰으며 거리낌 없이 일반 대중과 음악계에 선보였 다. 가스펠 음악은 그에게 아티스트의 총체적인 정체성을 이루는 중요한 부분 이었던 것이다. 그는 록큰롤 세계에 가스펠음악의 존재를 알려주었고, 자기 무대에 가스펠의 공간을 할애했다. 자신의 음악에서 가스펠 음악이 아주 중요한 부분이었음을 일반 대중음악계에 보여준 것이다. 엘비스 프레슬리의 가스펠 음악은 현대 기독교 대중음악의 형성단계에 선구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재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Elvis Presley’s Grammy Awards, all three of which were won in the Gospel category, highlight a lesser-known facet of his musical legacy. His unwavering commitment to gospel music led to his posthumous induction into the Gospel Music Hall of Fame.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gospel music on Presley’s musical career and the significance it held for him. Presley grew up in the Southern United States, where gospel music cultu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from secular music, allowing for a seamless integration of various gospel music styles.
Even after achieving rock and roll stardom, he continued releasing gospel records and incorporated gospel songs in movies and various other shows.
He used gospel music as a key element in shaping his musical style, structuring his backup vocals around gospel quartets throughout his career. By infusing traditional gospel music with contemporary sounds, he crafted his own musical identity, presenting it with unwavering confidence to the general public and the music industry. Gospel music was indeed an integral part of his artistic persona. He introduced gospel music to the world of rock and roll, reserving a prominent place for it on his stage. This approach underscored the significance of gospel music in the broader music scene. Elvis Presley’s gospel music can be re-evaluated as having emerged as a pioneering force during the formative phase of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엘비스 프레슬리, 가스펠 음악, 록큰롤, CCM, 서던 가스펠
Elvis Presley, gospel music, rock ‘n’ roll, CCM, southern gospel
‘음악적 소리’의 구성에서 ‘선법’ 이념의 발전: 모달재즈의 미학적 원리 - 칸트의 예술철학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Idea of ‘Mode’ in ‘Musical Sound’ Organization : Aesthetic Principles of Modal Jazz
2024, vol.33, 통권 33호 pp. 179-205 (27 pages)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연구분야 : 예술체육학 > 음악학 > 대중/실용/영화음악
남정우 /Nam Jung Woo 1
1순천향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고대부터 이어진 음악적 소리묶음 선별은 정서적 성격과 결합된 음계들의 유형을 ‘선법’으로 발전시켰는데, 이는 이후 작곡 및 연주의 감정 양태를 결정 하는 지침이 되었지만, 음악가들에게는 종종 규범적 제한으로 받아들여졌다. 1950년대에 이르러 러셀은 순5도 배열의 리디안 반음계로부터 범조성적 음계 구성의 가능성을 탐구했다. 이러한 시도에 기초하여 데이비스는 고전적 화성 규범으로부터 해방된 자유로운 탈조성 즉흥연주의 가능성을 사례화한다. 이로써 음악적 소리묶음 구성에 따른 미감적 이념은 재즈음악 즉흥연주 고유의 자유 이념으로 지양되었고, 모달 재즈라는 새로운 스타일로 자리매김했다.
The theorizing processes of musical sound bundles, which originated form ancient times, combined with affect, are established as a theory of ‘mode.’ Although it has functioned as a guideline of emotion in composing and playing music, it was also often regarded as a normative limitation of musicians as well. George Russell studied the the organization of pan -tonal scale through arrangement of pure 5th’s Lydian chromatics, and Miles Davis initialized the Aesthetical idea of musical freedom, the essential aesthetics of Jazz music. The confirmed possibility of unlimited improvisational melody by any tonality Davis initiated the new Archetypon of Jazz of modal de-formation as an aesthetical Idea of creative musical sound.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선법, 모달 재즈, 조지 러셀의 반음계 개념, 칸트의 미감적 이념, 마일스 데이비스의 탈조성 즉흥연주
Mode, Modal Jazz, George Russell’s Concept of Chromatic Scale, Kant’s Aesthetical Idea, pan-tonal improvisation of Miles Davis
일제 강점기 한국 초기 재즈에 관한 연구 - 1927년부터 1940년 사이 신문 · 잡지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Early Jazz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ed on Texts from Newspapers and Magazines between 1927 and 1940 -
2024, vol.33, 통권 33호 pp. 135-177 (43 pages)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연구분야 : 예술체육학 > 음악학 > 대중/실용/영화음악
남예지 /Nam Yeji 1
1중앙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고는 1920년대에 국내에 처음으로 유입된 재즈가 1940년에 적성국 음악 금지령으로 단절기를 맞게 되기까지 어떠한 모습으로 향유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1927년부터 1940년 사이 신문 및 잡지에 등장한 재즈 관련 텍스트를 수집하였으며, 재즈 관련 음반 발매량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생성기, 발전기, 쇠퇴기의 세 시기를 가정하고 텍스트를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생성기로 가정된 시기에는 한국 최초의 재즈밴드로 알려진 ‘코리안 재즈밴드’의 활동이 눈에 띄었고, 발전기로 가정된 시기부터는각 음반 회사에서 다양한 재즈밴드를 만들었으며, 이들의 재즈 공연이 활성화 되었다. 그리고 쇠퇴기로 가정된 시기에는 적성국 음악 금지령으로 인해 매체 상에서 재즈 관련 텍스트가 급격히 사라지게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일제 강점기의 재즈는 향유되었던 시기가 워낙 짧았고, 관련 자료도 많지 않아 수집한 자료만으로는 세 시기의 특징이 뚜렷하게 구분된다고 할 수는 없었으나,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새로운 자료들을 중심으로 일제 강점기 재즈의 생성과 발전 그리고 쇠퇴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데에 본 고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jazz, first introduced to Korea in the 1920s, was received until it faced interruption by the music prohibition decree of 1940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study collected newspaper and magazine texts between 1927 and 1940. The texts were then sorted into three categories and examined based on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amount of jazz record release: period of formation, development, and decay. During the formation period, “Korean Jazz Band” was notably active, which was also known as the very first jazz band in Korea. During the development period, various jazz bands were produced by record companies and they actively performed live. Lastly, during the decay period, jazz-related texts rapidly disappeared from the media due to the music prohibition decree.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hree periods are less explicitly distinguished due to a brief prevalence of jazz at the time and limited available dat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chronology of jazz during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Korea.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재즈. 한국재즈, 코리안재즈밴드, 한국대중음악, 일제강점기
Jazz, Korean Jazz, Korean Jazz Band, Korean Popular Music, Japanese Colonial Period
디지털 시대 프랑스 케이 팝 ‘팬-문화 매개자’들의 ‘그림자 문화 경제' - 인력채용부터 자금조달까지 -
The “shadow cultural economy” of French K-pop Fan-intermediaries in the Digital Age - From Recruitment to Financing -
2024, vol.33, 통권 33호 pp. 95-133 (39 pages)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연구분야 : 예술체육학 > 음악학 > 대중/실용/영화음악
나우진 /Woojin Na 1
1파리8대학 언론정보학
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텍스트적 생산성’을 통해 케이 팝 산업의 수직적 매개의 공백을 채우고 있는 프랑스 케이 팝 팬-매개자들의 문화 실천을 ‘소비’의 관점이 아닌 ‘생산’의 관점으로 접근해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만들어가고 있는 ‘그림자 문화 경제’가 어떠한 양상으로 조직되고 발전하고 기능하고 있는지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프랑스 케이 팝 팬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팬-문화 매개자들과 인터뷰를 실행하여 그들의 채용, 생산, 유통, 그리고 자금 조달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그들의 문화실천도 전문 문화산업 종사자들처럼 채용과정에서부터 자금조달 방법까지 그들 만의 규칙과 관행에 의해 수행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들은 팬 텍스트 특성에 맞게 주로 가까운 인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구성원을 조직하고 있었고, 비교적 자유로운 이런 인적 구성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업무 분담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동료 팬-매개자들과 디지털 ‘공유’ 행위를 통해 홍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협력적 모습도 보였다. 또한, 디지털 플랫폼에서 쌓은 ‘명성’에따라 크라우드 펀딩, 아시아 문화 관련 행사 초대, 케이 팝 관련 소매상점과 가시성 계약, 댄스 레슨 제공 등의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보상 체계를 가지고 있어 팬 문화 내 ‘하이브리드 경제’가 이미 실천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ltural practices of French K-pop cultural intermediaries, who fill the gap in vertical mediation in the K-pop industry, through “textual productivity,” from the perspective of “production” rather than “consumption” to understand how their “shadow cultural economy” is organized, functions, and develops. To this end, we conducted semi-directive interviews with fan- intermediarie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French K-pop fandom to learn about their systems of recruitment, production, distribution and financing. The practices of these intermediaries, like those of professional cultural workers, are guided by their own rules and practices, from recruitment processes to financing methods. First,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an productions, they organize their members primarily through personal networks. However, despite this relatively free human composition system, a clear division of labor among them was observed. They formed also promotional networks through digital “sharing” with other fan-intermediaries, thus demonstrating their strong solidarity. They had a variety of social and economic reward systems at their disposal, depending on the level of popularity they had acquired on digital platforms. These systems included crowdfunding, invitations to East Asian cultural events, visibility contracts with K-POP related retailers, and the provision of dance lessons. This clearly demonstrates that a “hybrid economy” within fan culture is already in practice.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케이팝 팬-문화 매개자, 텍스트적 생산성, 그림자문화경제, 대중문화 자본, 선물 경제, 하이브리드 경제
Cultural fan-intermediaries, digital shadow cultural economy, popular cultural capital, social and economic capital, K-pop, hybrid economy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대중음악교육을 위한 변혁적 접근
Transformative Approach for Popular Music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2024, vol.33, 통권 33호 pp. 69-93 (25 pages)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연구분야 : 예술체육학 > 음악학 > 대중/실용/영화음악
김책 1
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고는 오늘날 한국 대중음악교육의 문제점들을 재고찰해보고, 세계시민 교육의 주요한 덕목으로 꼽히는 반편향교육(anti-bias education), 변혁적 (transformative education)교육으로서의 대중음악 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개진되었다.
대중음악 교육의 총체적 변화가 요구된다는 총론적 함의와는 달리 실제 교육과정의 맥락에 있어서는 아직도 지난 세대의 이론적 주안점인 ‘통합’과 ‘첨가’ 모델에 매몰되어 변혁적 음악교육이라는 현대의 성취역량을 개진하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의식을 내포하고 있다.
각론의 논의 과정에 있어서는 사회과학적 문제의식에 기반하되, 한국 음악 교육에 있어 대중음악이 편향적으로 투영되고 정전화 되는 과정을 일견함으로서 한국 대중음악 교육이 내포하는 본유적 비대칭성을 지적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 논의 과정에 있어서는 타 국가의 재구성 사례들을 비교문화적으로 살펴보고 한국 음악교육의 맥락에 맞는 의미론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유럽예술음악 일색의 계몽적, 편향적 교육 환경 속에서, 현대 음악교육의 핵심성취역량인 세계시민역량, 비판적 역량, 반편향역량, 변혁적 역량 등 성찰 성을 강화한 적실성 있는 교육과정의 가능성을 성찰해 보고자 한다.
This study reconsiders and reflects on the issues surrounding contemporary education such as anti-bias education, transformativ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 citizenship, and education in the context of Korean popular music learning.
The scope of popular music education not only comprises physical sonic elements but also includes complex socio-cultural phenomenon such as modernity and colonialism. However, a tendency to adopt a western art music-centric curriculum based on enlightenment notions persists in Korean popular music education. These factors are becoming a serious obstacle to approach contemporary virtues of music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asymmetric curriculum of the class based on the question of “how popular music in Korea is being reflected and how the meaning of authenticity is being defined.” To this end, this study includes comparative explanations on the reconstructed popular music curricula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seeks to understand the ethno-semantic aspects of the Korean classroom context.
The different meanings of reflection upon a critical perspective are emphasized to approach the core competencies of contemporary popular music education such as global citizenship, critical, anti-bias, and transformative competency.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반편향교육, 변혁적교육, 대중음악교육, 한국의 음악교육, 세계시민교육
anti-bias education, transformative education, popular music education in Kore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Popular Music Education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 Focusing on ChatGPT -
2024, vol.33, 통권 33호 pp. 35-68 (34 pages)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연구분야 : 예술체육학 > 음악학 > 대중/실용/영화음악
김서희 /SeoheeKim 1 , 홍진욱 /JinwookHong 2
1상명대학교
2연세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생성형 AI 중 하나인 ChatGPT를 활용하여 중․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 수록된 창작영역 학습활동이 가능함을 증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중음악의 코러스 4마디를 작곡하는 과정을 예시 프롬프트와 함께 제시하며, 기술의 발전을 통해 그동안 개발이 적었던 창작영역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학습자는 프롬프트 및대중음악 작곡 관련 배경지식을 학습한 뒤, ChatGPT와 대화를 통해 가사와, 코드, 멜로디를 생성하고, 생성된 결과물을 학습자가 최종 수정함으로써 효과 적인 창작 활동이 가능하다. 이후 동료학습자 및 교사와 수행과정을 성찰하고 프롬프트를 상호피드백하면서 음악적 개념의 이해와 적용 능력을 심화시키고, 관계적 교육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education curriculum for music composition utilizing generative AI, particularly ChatGPT, aligns with the new direction for improving creative and integrative abilities. This program is based on the enhanced capabilities in the musical realm brought by the upgrade to GPT 4.0, thereby allowing for personalized music creation support across various music genres and styles. The introduction phase focuses on learning to use AI and acquiring basic knowledge of popular music. The development phase involves undertaking creative tasks such as lyric, chord, and melody generation. In the conclusion phase, participants reflect on the process and share what they have learne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serves as a model that provides concrete examples of music creation activitie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ChatGPT, 생성형AI, 대중음악교육, 인공지능음악교육, 융합교육
ChatGPT, Generative AI, Popular Music Education, AI Music Education, Integrative Education
앰비언트 음악(Ambient Music) 형식 분석 - 에이펙스 트윈(Aphex Twind)의 ‘루바브(Rhubarb)’를 중심으로 -
Ambient Music Form - Focusing on Aphex Twin’s “Rhubarb” -
2024, vol.33, 통권 33호 pp. 11-33 (23 pages)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연구분야 : 예술체육학 > 음악학 > 대중/실용/영화음악
권현우 /Kwon, Hyun Woo 1
1성결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앰비언트 음악은 전통적인 음악 형식을 가지지 않고 지속적인 패드, 드론 사운드의 반복을 통한 공간감을 중요시 하는 음악이다. 본 논문은 앰비언트 음악 형식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에이펙스 트윈(Aphex Twin)의 곡 ‘루바브(Rhubarb)’를 분석함으로써 반복과 변형으로 발생하는 앰비언트 음악의 다이나믹 변화 양상을 알아보았다. 반복되는 음악적 프레이즈 위에 텍스처의 중첩을 통해 이루어지는 다이나믹의 변화가 곡의 형식를 이루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공간감의 확장과 축소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루바브’ 분석을 통해 앰비언트 음악 형식의 특징을 반복적 형식, 텍스처 중첩을 통한 다이나믹의 변화, 동적 변화를 통한 공간감 창출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형식 특징 분석은 브라이언 이노가 만든 초기 앰비언트 음악뿐만 아니라 이후 타 장르와의 결합을 통한 앰비언트 음악과 앰비언트 사운드를 결합한 전자음악 장르에 적용할 수 있다. 전자음악의 한 갈래로서 앰비언트 음악 분석 뿐만 아니라 사운드의 한 종류로서 앰비언트 사운드에 대한 연구는 앰비언트 음악이 가진 가능성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Ambient music does not have a traditional music forms but emphasizes a sense of space through continuous repetition of pad and drone sounds. This study sought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ambient music format. By analyzing Aphex Twin’s song “Rhubarb,”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ynamic changes in ambient music that occur through repetition and transformation.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dynamic change achieved through the overlapping of textures on repeated musical phrases forms the form of the song, thereby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sense of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mbient music format were summarized as repetitive forms, dynamic changes through texture overlap, and creation of a sense of space through dynamic changes. This analysis of formal characteristics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early ambient music created by Brian Eno, but also to the electronic music genre that later combined ambient music and ambient sound through combination with other genres. Analysis of ambient music as a branch of electronic music as well as research on ambient sound will provide a new direction to the possibilities of such music.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전자 음악, 앰비언트 음악, 에이펙스 트윈, 브라이언 이노, 음악 형식
electronic music, ambient music, Aphex Twin, Brian Eno, music forms